2024 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 춘계학술대회 - 이진우
- 2024년 5월 31일 오후 10:29
- 조회수: 1079
Reviewed by
이진우

[학회 후기]
2024년 5월 30일 양재에서 열린 한국데이터마이닝학회에 참석하였다. 모든 연구실 인원이 다 함께 참석하여 좋은 발표를 듣고 끝나고 맛있는 저녁을 먹으며 회식이 있어, 다양한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지식도 기르고 마음도 따뜻한 하루였다. 이번 학회에서는 산업인공지능 응용, 이미지/영상 데이터마이닝, 경영공학 및 공공서비스 데이터마이닝 등 다양한 세션을 청취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 동향도 살필 수 있어 뜻깊었고, 특히 내가 공부하는 학문이 현실 문제에 적용되어 해결하는 것을 보며 많은 자극을 받았다. 더하여 다음번에는 나 역시도 무대에 서서 다른 연구자에게 내 연구를 멋지게 발표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청취 후기]
"튜토리얼"
튜토리얼 세션에선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에서의 안전한 AI 활용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현재 데이터 양이 방대해지면서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반대로 데이터를 악이용하는 사례들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하여 그들 역시도 데이터를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움직이며 타겟을 선택하여 개별 특성에 맞는 전략을 세운다. 그 예로 WORM-GPT는 매월 구독료를 받으며 해킹용 메일을 만들어주는 서비스다. 이러한 기업들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며, 개인 정보를 팔며 어마어마한 수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많은 연구들이 성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앞으로는 안전성 및 보안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포즈 인식 디퓨젼 모델을 통한 가상 의상 착용"
해당 발표는 우리 연구실 박태남 연구원이 발표하였는데, 가상 의상 착용을 위해 디퓨젼 모델을 적용한 연구이다. 가상 의상 착용이란 인물과 의상이 주어졌을 때, 대상 의상을 입은 사람의 이미지를 현실적으로 생성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많은 연구들이 GAN 기반으로 진행되었는데, 박태남 연구원의 경우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디퓨젼 모델을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이전 연구들은 포즈와 형태를 보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ntrolNet를 통해 pose map과 segmentation map에 대한 추가 정보를 활용하였다. 디퓨젼 모델 기반으로 비즈니스에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
"Deep Contrastive Matching for Printing Circuit Board Defect Classification"
해당 연구는 인쇄 회로 기판(PCB) 검사에 딥러닝 모델을 적용한 연구이다. 기존 PCB 검사를 수행할 때는 검사 이미지와 참조 이미지를 비교할 때 딥러닝 모델로 특징 맵 공간 상에서 두 이미지를 비교하고 결함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위치 정보가 손실되고, 위치 정보가 손실된다면 결함이 어디 발생하는지 판별하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사 이미지와 참조 이미지의 특징 맵의 차이를 통해 결함 정보를 추출하고, 어텐션을 활용하여 특징 맵의 결함 정보를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