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s

Projects

Category
  • ALL
  •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Smart Manufacturing
  • NLP & Text Mining
  • Healthcare & Biomedicine
  • Game AI
ALL
Keyword
더보기
Number of entries: 3 (필터 적용됨)
  •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ield RMA 불량률 예측 및 불량 분류(LG 디스플레이)

본 프로젝트는 불규칙적인 월별 불량률을 조기에 예측하는(회귀) 태스크와 불량 여부를 조기에 분류하는 태스크의 인공지능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불량률 및 불량을 조기에 탐지하여 제품 품질 및 고객 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월별 불량률을 예측하는 태스크에서는 월별로 불량률 예측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불량을 분류하는 태스크에서는 단일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였다.1. 월별 불량률 예측월별 불량률 예측은 양산 모델의 특성 데이터와 초기 불량률 데이터를 랜덤포레스트로 학습하여 N개월 후 불량률을 예측하는 태스크이다. 모델 학습을 위해 중요 변수 및 파생 변수를 생성하는 등의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성능 향상을 위해 학습에 사용되는 초기 불량률 기간을 조절하였으며, 도메인 지식을 통한 제품군별 군집화를 진행하였다.2. 제품 계측값을 활용한 불량 분류불량 분류는 제품 계측 값 및 장비 라인 데이터를 학습하여 양품과 불량을 분류하는 이진 분류와 불량의 종류(개월)를 확장한 멀티 클래스 분류 태스크이다. 데이터 수집, 파생변수 생성, 결측치 대체 등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도메인 지식을 통한 여러가지 방법의 다운샘플링 샘플링을 적용하였다. 세가지 앙상블 모델을 통해 성능을 비교했으며, 이진 분류의 경우 변수 중요도를 통해 공정의 주요 인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3. 결론 및 성능 - 결론 : 불량 관련 데이터 전처리 프로세스를 최초로 정의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회귀 및 분류 두 개 태스크를 수행하는 모델을 각각 구축하여 유의미한 성능을 달성하였다. - 성능   1) 월별 불량률 예측      - MAPE 기준 군집화 전보다 6차 군집화를 통해 성능 개선을 보였으며, MAE 기준 군집화 전보다 제품군별 군집화 및 초기 불량률 기간 조절을 통해 4차, 5차, 6차에서 성능 개선을 보였다.   2) 제품 계측값을 활용한 불량 분류      -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여 이진 분류 기준 Recall 0.69를 달성하였다. 다중 분류의 경우 클래스 개수를 군집화(16개 → 6개)하여 모든 지표 성능을 개선하였다. 

#Smart_Maufacturing #Regression #Classification
2022.09.01 ~ 2023.10.31
  • Smart Manufacturing

효율적인 이상감지 시스템 확산을 위한 AI 자가학습기술 개발(삼성전자)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반도체 공정의 가상계측(VM) 데이터를 통해 설비의 이상을 탐지하기위한 AI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2가지 방법(이미지데이터, 원본 데이터)으로 이상감지를 하였고, 이미지 분류 모델의 이상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1. 수집 데이터공정 내 여러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상을 탐지하고자 하는 기준 설비 데이터를 파란색으로 표시하였다. 같은 공정 내 다른 설비들의 데이터를 회색으로 표시하였으며, 기준 설비의 PM진행시점을 초록색 선으로 표시하여 아래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X축은 시간, Y축은 fab value를 나타낸다.2. 이상 데이터 정의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관심구간을 최근 1/7시점 정의하였고, 이는 이미지상 최우측 1/7시점이다. 관심구간 내 기준 설비 데이터가 다른 설비들의 데이터와 분포 차이가 클 경우, 관심구간이 과거 구간들(나머지 6/7 구간)과 다른 패턴을 보일 경우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PM 진행 이후에는 일시적인 패턴 변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PM 진행 이후 급격한 패턴 변화는 어느 정도 감안하였다.3. 이미지 데이터 이상 분류 및 이상 원인 파악기준 설비 데이터를 3가지 채널의 이미지로 생성하였다. 각 채널은 기준 설비 데이터, 기준 설비의 PM진행시점, 같은 공정 내 다른 설비들의 데이터의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과거 구간 대비 관심 구간의 패턴 변화를 탐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6개의 데이터 쌍으로 구성하였다. 샴 네트워크 모델은 한 쌍의 이미지들을 입력 값으로 받고 두 구간이 모두 정상을 경우 정상, 하나라도 이상일 경우 이상으로 이상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판단된 이상 확률 값에 grad-CAM을 적용하여 모델이 중요하게 간주한 부분을 확인하였다. Grad-CAM을 이용한 시각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이 중요하게 간주한 부분은 붉은색으로, 그렇지 않은 부분은 파란색으로 나타내었다.4. 원본 데이터 이상 탐지서로 길이가 다른 데이터들을 동일한 길이로 맞추기 위해, 128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 내 통계량 값을 계산하였다. 이후 anomaly transformer 모델을 학습하여 score를 계산하였다. 각 시점별로 계산된 이상 score 중 관심구간에 해당하는 값들을 기준으로 이상/정상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재구축 오차 기반 이상탐지 모델은 정상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nomaly_Detection #TimeSeries_Analysis #Smart_Maufacturing #Exaplainable_AI
2022.09.01 ~ 2023.08.31
  • Smart Manufacturing

딥러닝 기반 FAB 공정 희소 불량 이상 감지 기술 개발(삼성디스플레이)

본 프로젝트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정전기력으로 기판을 탈부착하는 정전척 공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1) 정전척 공정에서 유발되는 불량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2) 정량적 불량원인 인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불량과 정상의 불균형한 데이터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재구축 기반 이상치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샘플별 불량에 대한 원인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model-agnostic 방법론의 대표적인 방법론인 SHAP, LIME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재구축 기반 알고리즘에 직접적으로 model-agnostic 해석방법론을 적용하는 경우 기대하는 관점에서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대리모델(surrogate model)의 구조를 변경하여 적절한 해석이 도출되도록 개선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 구축한 불량검출력 및 해석에 대한 결과가 우수한 성능으로 도출이 되었으며, 제안한 프로세스가 해석이 가능한 이상치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하는 다양한 제조산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Explainable_AI #Anomaly_Detection #Smart_Maufacturing
2021.03.01 ~ 2022.02.28